top of page

『목은집』 기문의 작성 맥락과 건축 서술 경향

  • idlasnu
  • Sep 8
  • 2 min read

임한솔. (2025). 『목은집』 기문의 작성 맥락과 건축 서술 경향. 건축역사연구, 34(4), 17-28.


초록

본 연구는 건축역사학에서 기문의 의미가 사실의 기록을 넘어 주관의 표출, 그리고 건축의 이해와 감상이라는 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다고 보고 이를 연구 대상화하는 시론으로써 이색의 『목은집』에 수록된 기문의 작성 맥락과 건축 서술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실성을 기반으로 의론이 부가되는 문체로서 기문의 본질과 전개 양상을 살피고, 이색의 생애와 『목은집』을 개관함으로써 기문 분석의 배경을 마련하였다. 고려 말 최고의 지위와 문장력을 겸비한 문신이었던 이색의 『목은집』에 실린 74편의 기문을 살펴본 결과, 의뢰를 바탕으로 하는 기문의 동역학과 가보지 않고 원거리에서 자료를 얻어 기문을 썼던 작성의 여건을 알 수 있었다. 이색은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문이더라도 건축 관련 내용을 일관적으로 담지 않고 상당 부분 생략하거나 예외적으로 자세히 쓰기도 했다. 그 편차는 의뢰의 목적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건축 관련 서술을 필수 전제로 삼지는 않되, 의뢰 목적에 맞춰 필요한 만큼 활용했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ommemorative texts(gimun) in architectural history not only as records of facts but also as expressions of subjectivity. It further situates them within the cultural contexts of architectur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and, as a preliminary attempt, investigates the writing contexts and architectural descriptive tendencies of the commemorative texts included in Lee Saek’s Mogeunjib. For this purpose, it explores the essence and development of commemorative texts as a literary style based on factuality with added argumentation, and provides an overview of Lee Saek’s life and Mogeunjib in order to prepare the background for the analysis of the commemorative texts. An examination of the seventy-four commemorative texts contained in Lee Saek’s Mogeunjib reveals the dynamics of commemorative texts based on requests and the conditions of writing, in which he obtained materials from a distance without visiting the sites. Even in commemorative texts dealing with architecture, Lee Saek did not consistently include architectural content, sometimes omitting it considerably and at other times writing in exceptional detail. This variation is understood as depending on the purposes of the requests. Architectural descriptions were not taken as an essential premise, but were utilized as much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request.

 
 
 

Recent Posts

See All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화 ,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 원으로...

 
 
 

Comments


Have a Question? Send us a Message.

※ For all inquiries regarding IDLA admissions, please direct your email to Professor Pae.

© 2020  배정한 그리고, 심지수 만들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