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 idlasnu
  • Sep 8
  • 2 min read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원으로 조성되기에 주민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 간 공감대 형성을 통한 절차적 합리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시민참여 흐름을 살펴보고 그 양상을 정리한다. 이에 국내 참여 기반 오픈스페이스 조성지 7개 사례를 종합하여 조성 단계별 참여 내용과 경향을 도출한다. 또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2016-2022)을 의제 상정 단계, 설계 및 거버넌스 단계, 갈등 조정 단계, 시공 추진 단계로 나누어 시민참여를 분석한다. 그 결과 광화문광장시민참여는 불충분한 참여 여건, 부족한 정보 공유, 단조로운 참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전반적으로 시민참여의 제도적 환경이 개선되고 있으나, 실천의 영역에서 한계가 산하고 있었다. 향후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시민참여에 관한 확장된 연구가 요청된다.


The creation of open spaces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local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Since the public usually finances these spaces, it is necessary to ensure procedural rationality by promoting consensus among residents and other stakeholders.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creation of open spaces and summarizes trends. By analyzing seven cases of open space development based on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ession of participation during four phases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Gwanghwamun Plaza Restructuring Project (2016-2022). During the agenda-setting phase, the Gwanghwamun Forum was convened to establish agendas for the plaza's restructuring. The design and governance phase included a design competition to select a proposal for the plaza,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hwamun Citizens' Committee for governance. Despite proactive efforts in the conflict resolution phase to halt extensive restructuring and enhance communication, civic groups opposed the project by presenting five distinct agenda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multiple public particip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before the plaza's reopening. The study found that public participation in the Gwanghwamun Plaza project faced challenges such as inadequate participation conditions, limited information sharing, and monotonou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lthough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public participation is improving, practical limitations remain. Therefor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open space crea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s necessary.



 
 
 

Recent Posts

See All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Comments


Have a Question? Send us a Message.

※ For all inquiries regarding IDLA admissions, please direct your email to Professor Pae.

© 2020  배정한 그리고, 심지수 만들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