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Sep 8
『미암일기』와 『재영남일기』에 드러난 조선 전기 전라도·경상도 관찰사 일행의 누정 활용
임한솔. (2023). 『미암일기』와 『재영남일기』에 드러난 조선 전기 전라도·경상도 관찰사 일행의 누정 활용. 건축역사연구, 32(6), 7-21. 초록 본 연구는 16세기에 작성된 일기 자료를 통해 조선 전기 의 이동식 감영, 즉 순영...
Sep 8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화 ,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 원으로...
Sep 8
도시 오픈스페이스 계획 과정의 시민참여 정책 분석 - 서울, 인천, 광주, 대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박영석, 배정한. (2024). 도시 오픈스페이스 계획 과정의 시민참여 정책 분석 - 서울, 인천, 광주, 대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2(5), 1-14. 초록 오픈스페이스 는 도시 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삶의 질을...
Sep 8
『시경』과 『맹자』에 기록된 영대(靈臺) 원림의 특성과 조선시대 인식
임한솔. (2024). 『시경』과 『맹자』에 기록된 영대(靈臺) 원림의 특성과 조선시대 인식†. 한국조경학회지, 52(4), 120-136.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원림 기록 으로 꼽히는 『 시경 』의 「 대 아․ 영대...
Sep 8
조선시대 육조거리 중앙관아의 관청 의례와 건축 공간
임한솔. (2024). 조선시대 육조거리 중앙관아의 관청 의례와 건축 공간 - 법전과 관서지에 기록된 좌기 의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0(5), 107-118.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법전과 관서지 자료를 바탕으로 육조거리 ...
Sep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