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조선시대 육조거리 중앙관아의 관청 의례와 건축 공간

  • idlasnu
  • Sep 8
  • 1 min read

임한솔. (2024). 조선시대 육조거리 중앙관아의 관청 의례와 건축 공간 - 법전과 관서지에 기록된 좌기 의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0(5), 107-118.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법전과 관서지 자료를 바탕으로 육조거리 중앙관아에서 행해진 좌기 의례의 유형과 절차를 분석함으로써 중앙관아 건축의 보편성을 견지했던 제도와 공간적 위계를 규명한다. 『경국대전』에서 『대전회통』에 이르는 법전에는 관원들이 서로를 맞이하고 마주하는 의례에서의 위치와 행동이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에 편찬된 관서지류 문헌에는 상급자의 출근 의례인 ‘좌기’ 의례에 이를 적용한 관청별 규정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규정된 대문(大門), 중문(中門), 정(庭), 중계(中階), 영(楹), 벽(壁) 등의 공간 요소와 구성원 등급에 따른 위계 질서는 기능과 조건이 다른 중앙관아건축 제도에 보편성을 부여하는 요인으로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system and spatial hierarchies maintaining the universality of central government officearchitecture. It analyzes the types and procedures of attendance rituals (坐起) performed a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round Yukjo Street,based on the legal codes and gwanseoji in the Joseon Dynasty. The legal codes from Gyeonggukdaejeon to Daejeonhoetong record thepositions and actions of officials greeting and facing each other. Additionally, Gwanseo literature from the late Joseon Period documentsregulations for each government office, applying them to the attendance rituals, which are rituals for superiors to go to work. The spatialelements such as the main gate (大門), middle gate (中門), courtyard (庭), stylobate (中階), exterior column (楹), and wall (壁), along withthe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the level of members,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universality of the architectural systemof the central hall, which varies in function and condition.

 
 
 

Recent Posts

See All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화 ,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 원으로...

 
 
 

Comments


Have a Question? Send us a Message.

※ For all inquiries regarding IDLA admissions, please direct your email to Professor Pae.

© 2020  배정한 그리고, 심지수 만들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