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도형> 자료에 기록된 조선시대 주택 정원의 분석과 창의적 재현
- idlasnu
- Sep 8
- 2 min read
임한솔 and 장혁준. (2025).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도형> 자료에 기록된 조선시대 주택 정원의 분석과 창의적 재현†. 한국조경학회지, 53(2), 80-98.
초록
본 논문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도형> 자료에 기록된 주택 정원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 조경의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재현한 설계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한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도형> 자료는 18세기 말-19세기에 제작된 간가도 형식의 문서 자료이다. <도형> 자료에는 전체 88칸에 이르는 주택의 평면 구성과 식물 40여 종이 식재된 4단 화계가 그려져 있다. 자료에 기록된 주택 정원은 건축물과 외부 공간이 긴밀하게 접목돼 있고 배후의 자연지형을 활용하기보다 전면에 지형을 조작해 화계를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며, 화계의 식재는 조선 후기의 원예 취미가 반영되었다. <옥상별서, 화계산수>로 이름 지은 설계 프로젝트는 <도형> 자료에 기록된 주택 정원을 재현하되, 전통의 구현과 현대적 설계의 접목을 궁극적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간가도에 기록된 평면 배치를 준용하고 식물 종을 고증해 반영하는 동시에 입지와 건물 구성, 프로그램 적용, 세부 식재 등에서 자료에 기록되지 않은 부분을 창안하고 동시대 조경 문화를 반영해 재해석을 가했다. 이러한 시도는 고증 연구와 설계 실천이 서로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gardens recorded in the Do-hyung materials house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presents the process and outcomes of a design project creatively reinterpreting these garden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The Do-hyung materials, classified as Gan-ga-do-style documents, were primarily created betwee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These materials depict the floor plan of a residence comprising 88 bays and a four-tiered terraced flower bed with over 40 plant species. The residential garden illustrated in the materials is notable for the close integr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outdoor spaces, as well as the creation of the terraced flower bed using artificial terrain rather than natural topography. The plantings in the terraced flower bed reflect the horticultural interes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dding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The design project, titled Roofside Villa, Landscape of Terraced Flower Bed, aimed to recreate the residential garden depicted in the Do-hyung materials while pursuing the ultimate goal of integrating traditional representation with modern design. To achieve this, the project adopted the spatial arrangement recorded in the Gan-ga-do documents and incorporated plant species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Simultaneously, contemporary landscape culture was reflected through reinterpretations of site selection, architectural composition, and program application. This endeavor demonstrates the meaningful interplay between historical research and design practice, underscoring their mutual influence and valu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