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 이후 한시적 벽화 프로젝트 사례 연구 - <을지로 셔터아트 프로젝트>, <2021 프로젝트 영도>를 중심으로

  • idlasnu
  • Sep 8
  • 2 min read

신명진. (2025). 문화적 도시재생 사업 이후 한시적 벽화 프로젝트 사례 연구† - <을지로 셔터아트 프로젝트>, <2021 프로젝트 영도>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3(4), 167-180.


초록

2010년대 시작된 국내 도시재생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그 효과에 대한 평가와 연구가 이어지는 한편 공공미술의차원에서 그에 대한 논의는 상대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현황이다. 이 연구사례 연구를 통해 한시적 벽화프로젝트, <을지로 셔터아트 프로젝트>와 <2021 프로젝트 영도>가 기존 문화적 도시재생 방식을 참고하는 방식을탐구하고 그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기제로써 한시성의 함의와 한계를 살펴본다. 사례 연구는 보고서, 각 프로젝트의 아카이브, 언론 매체 등을 통한 문헌 연구, 현장 관찰, 대면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두 프로젝트는 각각 기존 문화적 도시재생에서 공공미술을 활용하는 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한시성을 용한 기획과 실천을 통해 대안 방식을 실험한 것으로 드러난다. 을지로 셔터아트 프로젝트의 경우 소재의 선택과 전시의 방식에서,2021 프로젝트 영도의 경우 소재와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각각 한시성을 용해 기존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미술사업에 대한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공공미술을 통해 상징문화적 도시재생 경관을 조성하여 관광지화를 의도하는 상황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현재, 이 연구에서 탐구한 한시적 공공미술의 비판 실천과 그 한계는 추후 공공미술과 도시 경관의 접점을 연구하는 데 있어 고려할 측면이다.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mplemented in South Korea in the 2010s gradually came to a close,evaluation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have followed. However, critical discussions on these projects from thepublic art perspective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wo ephemeralmural projects, ‘Euljiro Shutter Art Project’ and ‘2021 Project Yeongdo’, reference previous cultural urbanregeneration project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eir use of ephemerality. Case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incorporating official documents, archives,media, site visits and interviews. Case studies showed that the two projects each explor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public art projectsexecuted as part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dapting ephemerality in different manners and modes toexperiment with alternative approaches. Euljiro Shutter Art Project utilized ephemerality in its choice ofmedium and exhibition method, whereas 2021 Project Yeongdo focused on ephemerality in its choice ofmedium and programming. Considering that the use of public art to transform existing urban landscapes intosymbolic cultural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tourism continues to occur,the critical perspective and practices of ephemeral public art explor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meaningfulfootprint for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future public art and urban landscapes.

 
 
 

Recent Posts

See All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화 ,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 원으로...

 
 
 

Comments


Have a Question? Send us a Message.

※ For all inquiries regarding IDLA admissions, please direct your email to Professor Pae.

© 2020  배정한 그리고, 심지수 만들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