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조선 중기 정사(精舍) 개념의 수용과 누정 건축

  • idlasnu
  • Sep 8
  • 2 min read

임한솔. (2024). 조선 중기 정사(精舍) 개념의 수용과 누정 건축. 건축역사연구, 33(2), 17-27.


초록

본 연구는 명칭과 형식이 일치하지 않고 방과 마루가 다채롭게 결합된 조선시대 누정의 특유의 혼성성을 주자의 무이정사라는 유학적 원형으로써 해석한다. 지방 사림의 활발한 누정 경영과 소빙기로 인한 온돌 보급, 주자의 전적을 따르는 건축 문화이라는 조선 중기의 시기상을 배경 삼아 전개된 무이정사건축적 재현은 누정 건축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무이정사건축 구성을 담은 『무이정사잡영병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무이정사 안에 당(堂), 정(亭), 재(齋), 관(館)이라는 서로 다른 공간 유형이 통합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당’과 ‘정’의 조합, ‘정’과 ‘정사’의 접합이라는 관점에서 조선 중기 정사 건축의 주요 사례를 네 가지 유형으로 재해석하였다. ‘당’과 ‘정’은 별개의 건축물로 병치되거나 한 건축물 내에 포함 관계를 가지고 구현되기도 하였으며, ‘당’에 비해 부차적으로 여겨지는 ‘정’ 개념이 ‘정사’ 자체와 치환되는 범주로 쓰이기도 하였다. 또한 명칭은 ‘정사’를 사용하되 입지는 ‘정’의 성격이 강하고, 건축 형식은 ‘당’의 형태를 준수함으로써 건축물 한 채로 무이정사의 구성을 절묘하게 재구성하기도 하였다.


This research interprets the hybridity of the pavilion archit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n which thename and form don't match and rooms and floors are combin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confucian architectural prototype Muijeongsa(武夷精舍) by Zhu Xi(朱熹). Developed against thebackground of the mid-Joseon period of active pavilion management by Sarim(士林), the spread of ondols due to the Little Ice Age, and an architectural culture following the footsteps of the Zhu Xi,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Muijeongsa is likely to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pavilion architectu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Muijeongsajapyeongbyeongseo(武夷精舍雜詠幷序),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spacessuch as Dang(堂), Jeong(亭) are integrated into Muijeongsa. Based on this, the main examples of thearchitecture of Jeongsa in the mid-Joseon Dynasty were reinterpreted into four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bination of Dang and Jeong, and the junction of Jeong and Jeongsa. Dangand Jeong were either juxtaposed as separate buildings or implemented with a relationship ofinclusion within one building. And the concept of Jeong, which was considered secondary to Dang,was used as a category that was replaced with the Jeongsa itself. Lastly, the name Jeongsa wasused, but the location had a strong character of Jeong, and the architectural form adhered to Dang, thereby exquisitely reconstructing the composition of Muijeongsa as a single building.

 
 
 

Recent Posts

See All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배정한. (2023).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1(2), 42-53. 초록 이 논문은 다변화하고 있는 환경 미학 의 최근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환경...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박영석 and 배정한. (2024).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과정에 나타난 시민참여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52(4), 69-85. 초록 오픈스페이스 조성은 지역의 경제, 사회, 문 화 , 환경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공의 재 원으로...

 
 
 

Comments


Have a Question? Send us a Message.

※ For all inquiries regarding IDLA admissions, please direct your email to Professor Pae.

© 2020  배정한 그리고, 심지수 만들다.

bottom of page